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5622

 

5622번: 다이얼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5보다 작거나 같다.

www.acmicpc.net

문제

상근이의 할머니는 아래 그림과 같이 오래된 다이얼 전화기를 사용한다.

전화를 걸고 싶은 번호가 있다면, 숫자를 하나를 누른 다음에 금속 핀이 있는 곳 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려야 한다. 숫자를 하나 누르면 다이얼이 처음 위치로 돌아가고, 다음 숫자를 누르려면 다이얼을 처음 위치에서 다시 돌려야 한다.

숫자 1을 걸려면 총 2초가 필요하다. 1보다 큰 수를 거는데 걸리는 시간은 이보다 더 걸리며, 한 칸 옆에 있는 숫자를 걸기 위해선 1초씩 더 걸린다.

상근이의 할머니는 전화 번호를 각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로 외운다. 즉, 어떤 단어를 걸 때, 각 알파벳에 해당하는 숫자를 걸면 된다. 예를 들어, UNUCIC는 868242와 같다.

할머니가 외운 단어가 주어졌을 때, 이 전화를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5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다이얼을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 다이얼

alpa = input()

num = {2: ['A', 'B', 'C'], 3: ['D', 'E', 'F'], 4: ['G', 'H', 'I'], 5: ['J', 'K', 'L'], 6: ['M', 'N', 'O'], 7: ['P' ,'Q', 'R', 'S'], 8: ['T', 'U',' V'], 9: ['W' ,'X', 'Y', 'Z']}

time = 0

for i in alpa:
    for key, value in num.items():
        for k in value:
            if k == i:
                # print(key,end='')
                time += key+1
# print()
print(time)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해당되는 값을 할당하고 value값과 할머니가 입력한 값이 맞으면 key 값을 가지고와서 key 값에 1을 더한값을 출력한다

예제같은 경우엔 잘 출력이 되는데 30% 구간에서 계속 틀렸다고 한다.

딕셔너리를 작성하는게 엄청 귀찮았는데 속상하다.

정답코드

alpa = input()

num = {2: ['A', 'B', 'C'], 3: ['D', 'E', 'F'], 4: ['G', 'H', 'I'], 5: ['J', 'K', 'L'], 6: ['M', 'N', 'O'], 7: ['P', 'Q', 'R', 'S'], 8: ['T', 'U', 'V'], 9: ['W', 'X', 'Y', 'Z']}

time = 0

for i in alpa:
    for key, value in num.items():
        for k in value:
            if k == i:
                # print(key,end='')
                time += key+1
# print()
print(time)

근데 그게 오타 때문이었던 것이다 진짜 너무 속상하다

v 앞에 공백이 있었음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908

 

2908번: 상수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www.acmicpc.net

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 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칠판에 적은 두 수 A와 B가 주어진다. 두 수는 같지 않은 세 자리 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상수의 대답을 출력한다.


num1, num2 = input().split()
sangsu1 = num1[::-1]
sangsu2 = num2[::-1]

if sangsu1>sangsu2:
    print(sangsu1)
else:
    print(sangsu2)

파이썬 문자열에서는 슬라이싱을 사용가능하다.

input()을 통해 숫자를 문자열로 받아오고, 그 수를 슬라이싱으로 뒤집은 후 sangsu에 입력해줬다

지금 코드를 보며 생각해보기를 sangsu를 int를 통해 숫자형으로 바꿔서 들고와야 했는데

그렇게 해주지 않았음에도 이 문제에서는 숫자가 세 자리 수 라는 제한이 있었으므로 통과할 수 있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152

 

1152번: 단어의 개수

첫 줄에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단어는 공백 한 개로 구분되며, 공백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문자열

www.acmicpc.net

문제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에는 몇 개의 단어가 있을까? 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한 단어가 여러 번 등장하면 등장한 횟수만큼 모두 세어야 한다.

입력

첫 줄에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단어는 공백 한 개로 구분되며, 공백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문자열은 공백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있다.

출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단순하게 공백의 갯수를 카운팅 한 후 공백의 수 + 1을 한 숫자를 출력하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문자열은 공백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있다.' 라는 문장이 있어 그렇게 풀면 틀린다는걸 알 수 있다.

 

정답코드

text = input().strip()
# print(text)
cnt = 0
if len(text) == 0:
    print(0)
else:
    for i in text:
        if i == ' ':
            cnt += 1

    print(cnt+1)

문자 자체가 공백인 경우를 고려하지 않아서 계속 80% 후반에서 틀렸습니다가 떴다.

문자의 길이가 0일 경우를 반드시 예외처리 해주어야 한다

위의 코드같은 경우에는 strip을 사용해서 양 옆의 공백을 지워줘서 해결했다.

 

아래는 실패 코드

text = input()
# print(text)
cnt = 0
if len(text) == 0:
    print(0)
else:
    for i in range(1, len(text)-2):
        if text[i] == ' ':
            cnt += 1

    print(cnt+1)

그럼 탐색범위의 양 옆을 하나씩 지워주는 경우는 어떨까 싶어서 다음과 같이 range를 지정하고 text에 index로 접근해보았지만 틀렸다고 한다.

앞에 공백이 들어올 경우 공백이 지워지지만 알파벳 하나만으로 구성된 단어가 있어서 그런다...부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