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작성보다는 문제 이해가 더 힘들었던 문제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는 한수
123 의 경우 1, 2, 3 각 1씩 차이가 나고 있으니 한수이다.
10의 자리 숫자는 15 78 56 38 무슨 수를 가지고 오든 차이가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한수이다
1의 자리 숫자는 한수이다(왜 한수인지 모르겠다)
입력 값이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수이고 1000은 한수가 아니기 때문에 100의 자리 숫자만 고려 해주면 된다.
def hansu(n):
X = 0
for i in range(1, n+1):
if i < 100:
X += 1
else:
hansus = list(map(int,str(i)))
# print(hansus)
if hansus[0] - hansus[1] == hansus[1] - hansus[2]:
X += 1
return X
N = int(input())
print(hansu(N))
You have 18 unapplied migration(s). Your project may not work properly until you apply the migrations for app(s): admin, auth, contenttypes, sessions. Run 'python manage.py migrate' to apply them.
migration을 하기위해 python manage.py makemigration을 입력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오류
ImportError: Couldn't import Django. Are you sure it's installed and available on your PYTHONPATH environment variable? Did you forget to activate a virtual environment?
왕비를 피해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평화롭게 생활하고 있던 백설공주에게 위기가 찾아왔다.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난쟁이가 일곱 명이 아닌 아홉 명이었던 것이다.
아홉 명의 난쟁이는 모두 자신이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주인공이라고 주장했다. 뛰어난 수학적 직관력을 가지고 있던 백설공주는, 다행스럽게도 일곱 난쟁이의 키의 합이 100이 됨을 기억해 냈다.
아홉 난쟁이의 키가 주어졌을 때, 백설공주를 도와 일곱 난쟁이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출력
일곱 난쟁이의 키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일곱 난쟁이를 찾을 수 없는 경우는 없다.
# 일곱난쟁이
num = [int(input()) for _ in range(9)]
add = 0
#값을 다 더하기
for i in num:
add += i
# 난쟁이 아닌 애 빼기
for i in range(9):
for j in range(i+1, 9):
if 100 == add - (num[i] + num[j]):
no1 = num[i]
no2 = num[j]
num.remove(no1)
num.remove(no2)
# 오름차순
for i in range(7):
for j in range(i, 7):
if num[i] > num[j]:
num[i], num[j] = num[j], num[i]
#프린트
for i in num:
print(i)
모든 합을 구한 후 난쟁이가 아닌 값을 뺐을 때 100이 되면 출력되도록 하였다
# 일곱난쟁이
num = [int(input()) for _ in range(9)]
add = 0
#값을 다 더하기
for i in num:
add += i
# 난쟁이 아닌 애 빼기
for i in range(9):
for j in range(i+1, 9):
if 100 == add - (num[i] + num[j]):
num.pop(i)
num.pop(j)
# 오름차순
for i in range(7):
for j in range(i, 7):
if num[i] > num[j]:
num[i], num[j] = num[j], num[i]
#프린트
for i in num:
print(i)
처음에는 다음과 같이 pop()을 이용하면 인덱스 값을 아는 순간 바로 지울 수 있으니 편하겠다고 생각했는데 pop()을 for문 안에서 쓰는 순간 리스트의 길이가 짧아져서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이라는 인덱싱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값을 no1, no2 에 저장 한 다음 for문의 밖으로 나와서 리스트에 해당 값을 가진 요소를 지우는 방법을 선택했다.
대학생 새내기들의 90%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1 ≤ N ≤ 1000, N은 정수)이 첫 수로 주어지고,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C = int(input())
for tc in range(C):
score = list(map(int, input().split()))
over_avg = 0
avg = sum(score[1:])/score[0]
for i in score[1:]:
if i > avg:
over_avg += 1
ans = over_avg/score[0] * 100
print('{:.3f}%'.format(ans))
가장 앞에 주어지는 테스트 수를 score에서 배제하기 위해 슬라이싱을 사용했다
test_case = int(input())
for i in range(test_case):
score = input().split()
score = map(int, score)
score = list(score)
ans_cnt = 0
add = 0
avg = 0
cnt = 0
for score_avg in range(1, len(score)):
add += score[score_avg]
cnt += 1
avg = add/cnt
for upper_avg in range(1, len(score)):
if avg < score[upper_avg]:
ans_cnt += 1
ans = ans_cnt / cnt * 100
print(f'{ans:.3f}%')
"OOXXOXXOOO"와 같은 OX퀴즈의 결과가 있다. O는 문제를 맞은 것이고, X는 문제를 틀린 것이다. 문제를 맞은 경우 그 문제의 점수는 그 문제까지 연속된 O의 개수가 된다. 예를 들어, 10번 문제의 점수는 3이 된다.
"OOXXOXXOOO"의 점수는 1+2+0+0+1+0+0+1+2+3 = 10점이다.
OX퀴즈의 결과가 주어졌을 때,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길이가 0보다 크고 80보다 작은 문자열이 주어진다. 문자열은 O와 X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점수를 출력한다.
T = int(input())
for tc in range(T):
ox = list(input())
cnt = 0
score = 0
for i in range(len(ox)):
if ox[i] == 'O':
cnt += 1
score += 1*cnt
else:
cnt = 0
print(score)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 이 값을 M이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M*100으로 고쳤다.
예를 들어,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70*100이 되어 71.43점이 된다.
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
출력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2이하이면 정답이다.
N = int(input())
score = list(map(int, input().split()))
max_num = 0
new_score = []
for i in range(N):
if score[i] > max_num:
max_num = score[i]
for i in score:
new_score.append(i/max_num*100)
# 평균 구하기
add = 0
for i in new_score:
add += i
print(add/N)
평균을 간단히 구하기 위해 sum 함수를 쓸 수도 있지만 직접 하나하나 더해줬다.
N = int(input())
score = list(map(int, input().split()))
max_num = 0
new_score = []
for i in range(N):
if score[i] > max_num:
max_num = score[i]
for i in score:
new_score.append(i/max_num*100)
print(sum(new_sco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