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941

 

2941번: 크로아티아 알파벳

예전에는 운영체제에서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입력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변경해서 입력했다. 크로아티아 알파벳 변경 č c= ć c- dž dz= đ d- lj lj nj nj š s= ž z=

www.acmicpc.net

문제

예전에는 운영체제에서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입력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변경해서 입력했다.

크로아티아 알파벳변경

č c=
ć c-
dz=
đ d-
lj lj
nj nj
š s=
ž z=

예를 들어, ljes=njak은 크로아티아 알파벳 6개(lj, e, š, nj, a, k)로 이루어져 있다. 단어가 주어졌을 때, 몇 개의 크로아티아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출력한다.

dž는 무조건 하나의 알파벳으로 쓰이고, d와 ž가 분리된 것으로 보지 않는다. lj와 nj도 마찬가지이다. 위 목록에 없는 알파벳은 한 글자씩 센다.

입력

첫째 줄에 최대 100글자의 단어가 주어진다. 알파벳 소문자와 '-', '='로만 이루어져 있다.

단어는 크로아티아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 설명의 표에 나와있는 알파벳은 변경된 형태로 입력된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단어가 몇 개의 크로아티아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출력한다.


맞은 코드

cro = ['c=','c-','dz=','d-','lj','nj','s=','z=']

text = input()

for i in cro:
    if i in text:
        text = text.replace(i,'a')

# print(text)
print(len(text))

처음에는 cnt 함수를 만들어서 크로아티아 알파벳에 해당하는 것이 있는 경우 -1을 하도록 해봤지만

dz=의 경우엔 -2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알파벳에 해당하면 그냥 길이가 1인 아무거나로 replace되로록 하여 len으로 text의 길이를 계산해 주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5622

 

5622번: 다이얼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5보다 작거나 같다.

www.acmicpc.net

문제

상근이의 할머니는 아래 그림과 같이 오래된 다이얼 전화기를 사용한다.

전화를 걸고 싶은 번호가 있다면, 숫자를 하나를 누른 다음에 금속 핀이 있는 곳 까지 시계방향으로 돌려야 한다. 숫자를 하나 누르면 다이얼이 처음 위치로 돌아가고, 다음 숫자를 누르려면 다이얼을 처음 위치에서 다시 돌려야 한다.

숫자 1을 걸려면 총 2초가 필요하다. 1보다 큰 수를 거는데 걸리는 시간은 이보다 더 걸리며, 한 칸 옆에 있는 숫자를 걸기 위해선 1초씩 더 걸린다.

상근이의 할머니는 전화 번호를 각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로 외운다. 즉, 어떤 단어를 걸 때, 각 알파벳에 해당하는 숫자를 걸면 된다. 예를 들어, UNUCIC는 868242와 같다.

할머니가 외운 단어가 주어졌을 때, 이 전화를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5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다이얼을 걸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시간을 출력한다.


# 다이얼

alpa = input()

num = {2: ['A', 'B', 'C'], 3: ['D', 'E', 'F'], 4: ['G', 'H', 'I'], 5: ['J', 'K', 'L'], 6: ['M', 'N', 'O'], 7: ['P' ,'Q', 'R', 'S'], 8: ['T', 'U',' V'], 9: ['W' ,'X', 'Y', 'Z']}

time = 0

for i in alpa:
    for key, value in num.items():
        for k in value:
            if k == i:
                # print(key,end='')
                time += key+1
# print()
print(time)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해당되는 값을 할당하고 value값과 할머니가 입력한 값이 맞으면 key 값을 가지고와서 key 값에 1을 더한값을 출력한다

예제같은 경우엔 잘 출력이 되는데 30% 구간에서 계속 틀렸다고 한다.

딕셔너리를 작성하는게 엄청 귀찮았는데 속상하다.

정답코드

alpa = input()

num = {2: ['A', 'B', 'C'], 3: ['D', 'E', 'F'], 4: ['G', 'H', 'I'], 5: ['J', 'K', 'L'], 6: ['M', 'N', 'O'], 7: ['P', 'Q', 'R', 'S'], 8: ['T', 'U', 'V'], 9: ['W', 'X', 'Y', 'Z']}

time = 0

for i in alpa:
    for key, value in num.items():
        for k in value:
            if k == i:
                # print(key,end='')
                time += key+1
# print()
print(time)

근데 그게 오타 때문이었던 것이다 진짜 너무 속상하다

v 앞에 공백이 있었음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908

 

2908번: 상수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www.acmicpc.net

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 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칠판에 적은 두 수 A와 B가 주어진다. 두 수는 같지 않은 세 자리 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상수의 대답을 출력한다.


num1, num2 = input().split()
sangsu1 = num1[::-1]
sangsu2 = num2[::-1]

if sangsu1>sangsu2:
    print(sangsu1)
else:
    print(sangsu2)

파이썬 문자열에서는 슬라이싱을 사용가능하다.

input()을 통해 숫자를 문자열로 받아오고, 그 수를 슬라이싱으로 뒤집은 후 sangsu에 입력해줬다

지금 코드를 보며 생각해보기를 sangsu를 int를 통해 숫자형으로 바꿔서 들고와야 했는데

그렇게 해주지 않았음에도 이 문제에서는 숫자가 세 자리 수 라는 제한이 있었으므로 통과할 수 있었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152

 

1152번: 단어의 개수

첫 줄에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단어는 공백 한 개로 구분되며, 공백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문자열

www.acmicpc.net

문제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에는 몇 개의 단어가 있을까? 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한 단어가 여러 번 등장하면 등장한 횟수만큼 모두 세어야 한다.

입력

첫 줄에 영어 대소문자와 공백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단어는 공백 한 개로 구분되며, 공백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다. 또한 문자열은 공백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있다.

출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단순하게 공백의 갯수를 카운팅 한 후 공백의 수 + 1을 한 숫자를 출력하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문자열은 공백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있다.' 라는 문장이 있어 그렇게 풀면 틀린다는걸 알 수 있다.

 

정답코드

text = input().strip()
# print(text)
cnt = 0
if len(text) == 0:
    print(0)
else:
    for i in text:
        if i == ' ':
            cnt += 1

    print(cnt+1)

문자 자체가 공백인 경우를 고려하지 않아서 계속 80% 후반에서 틀렸습니다가 떴다.

문자의 길이가 0일 경우를 반드시 예외처리 해주어야 한다

위의 코드같은 경우에는 strip을 사용해서 양 옆의 공백을 지워줘서 해결했다.

 

아래는 실패 코드

text = input()
# print(text)
cnt = 0
if len(text) == 0:
    print(0)
else:
    for i in range(1, len(text)-2):
        if text[i] == ' ':
            cnt += 1

    print(cnt+1)

그럼 탐색범위의 양 옆을 하나씩 지워주는 경우는 어떨까 싶어서 다음과 같이 range를 지정하고 text에 index로 접근해보았지만 틀렸다고 한다.

앞에 공백이 들어올 경우 공백이 지워지지만 알파벳 하나만으로 구성된 단어가 있어서 그런다...부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157

 

1157번: 단어 공부

알파벳 대소문자로 된 단어가 주어지면, 이 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www.acmicpc.net

문제

알파벳 대소문자로 된 단어가 주어지면, 이 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입력

첫째 줄에 알파벳 대소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단어의 길이는 1,000,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이 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을 대문자로 출력한다. 단,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를 출력한다.


text = input()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로 통합한다
text.lower()
max_num = 0
max_text = ''

for i in text:
    num = text.count(i)
    if num > max_num:
        max_num = num
        max_text = i

print(max_text)

처음에는 이런식으로 작성해보았으나 이렇게 되면 첫번째 예제인 mississipi처럼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가장 앞에 있는 알파벳을 출력하게 되기 때문에 틀린다.

counting 정렬을 이용하면 될 것 같은데 카운팅 정렬의 경우 카운팅할 숫자가 비교적 적은 경우라고 생각하는데 a~z를 모두 카운팅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렇다고 만약 max_num이 num과 같다면 ?출력한다 라고 작성하기에는 가장 많은 수를 카운팅 하기 전에 같은 수의 알파벳이 발생하는 경우 ?를 출력해버리는 경우가 발생...

text = input()

text = text.upper()
print(text)
text_list = list(set(text))
print(text_list)
print(text)

counts = [0]*(len(text_list))

for i in range(len(text_list)):
    counts[i] = text.count(text_list[i])

max_num = max(counts)
max_num_count =0
print(counts)
for count_num in counts:
    if max_num == count_num:
        max_num_count += 1
if max_num_count == 1:
    print(text_list[counts.index(count_num)])
else:
    print('?')

이후 set을 통해 코드를 짜보았지만 이런식으로 짜니 답이 랜덤으로 틀리는 문제가 발생했다 ( 답이 랜덤하게 틀린다 = 틀린거 )

원인을 찾다보니

if max_num_count == 1:
    print(text_list[counts.index(count_num)])

여기서 index값으로 count_num을 받고있는것을 발견

max_num으로 변경해주었다

 

최종코드

text = input()

text = text.upper()
text_list = list(set(text))

counts = [0]*(len(text_list))

for i in range(len(text_list)):
    counts[i] = text.count(text_list[i])
max_num = max(counts)
max_num_count =0
# print(text_list)
# print(counts)

for count_num in counts:
    if max_num == count_num:
        max_num_count += 1
if max_num_count == 1:
    print(text_list[counts.index(max_num)])
else:
    print('?')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675

 

2675번: 문자열 반복

문자열 S를 입력받은 후에, 각 문자를 R번 반복해 새 문자열 P를 만든 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즉, 첫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고, 두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는 식으로 P를 만들면 된다

www.acmicpc.net

문제

문자열 S를 입력받은 후에, 각 문자를 R번 반복해 새 문자열 P를 만든 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즉, 첫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고, 두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는 식으로 P를 만들면 된다. S에는 QR Code "alphanumeric" 문자만 들어있다.

QR Code "alphanumeric" 문자는 0123456789ABCDEFGHIJKLMNOPQRSTUVWXYZ\$%*+-./: 이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0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반복 횟수 R(1 ≤ R ≤ 8), 문자열 S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S의 길이는 적어도 1이며, 20글자를 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P를 출력한다.


T = int(input())

for tc in range(1, T+1):
    R, S = input().split()
    text = ''
    for i in S:
        for j in range(int(R)):
            text += i
    print(text)

처음에는 아래와 같이 짰는데 틀렸다

T = int(input())

for tc in range(1, T+1):
    R, S = input().split()

    for i in S:
        print(i*int(R),end='')

예제는 다음과 같은 코드로 작성해도 맞게 나오는데 틀린 이유를 예측해보자면... 모르겠다

왜지?

처음에는 뒤에 공백이 하나 생기나 싶었는데 ''라 공백도 안생기고... 맞왜틀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4

 

11654번: 아스키 코드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 0-9중 하나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문제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 0-9중 하나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 0-9 중 하나가 첫째 줄에 주어진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출력한다.


text = input()
print(ord(text))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065

 

1065번: 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www.acmicpc.net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작성보다는 문제 이해가 더 힘들었던 문제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는 한수

123 의 경우 1, 2, 3 각 1씩 차이가 나고 있으니 한수이다.

10의 자리 숫자는 15 78 56 38 무슨 수를 가지고 오든 차이가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한수이다

1의 자리 숫자는 한수이다(왜 한수인지 모르겠다)

입력 값이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수이고 1000은 한수가 아니기 때문에 100의 자리 숫자만 고려 해주면 된다.


def hansu(n):
    X = 0

    for i in range(1, n+1):
        if i < 100:
            X += 1
        else:
            hansus = list(map(int,str(i)))
            # print(hansus)
            if hansus[0] - hansus[1] == hansus[1] - hansus[2]:
                X += 1
    return X


N = int(input())
print(hansu(N))

함수를 이용하여 푸는 문제기 때문에 계산을 하는 부분은 함수로 빼준다

return 값을 반드시 받아와야 한다 아니면 none 이 반환된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5596

 

15596번: 정수 N개의 합

C++17, Java 8, Python 3, C11, PyPy3, C99, C++98, C++11, C++14, Python 2, PyPy2, Go, C99 (Clang), C++98 (Clang), C++11 (Clang), C++14 (Clang), C11 (Clang), C++17 (Clang)

www.acmicpc.net

문제

정수 n개가 주어졌을 때, n개의 합을 구하는 함수를 작성하시오.

작성해야 하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

  • C, C11, C (Clang), C11 (Clang): long long sum(int *a, int n);
    •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 n: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의 개수
    •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 C++, C++11, C++14, C++17, C++ (Clang), C++11 (Clang), C++14 (Clang), C++17 (Clang): long long sum(std::vector<int> &a);
    •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 Python 2, Python 3, PyPy, PyPy3: def solve(a: list) -> int
    •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정수)
  • Java: long sum(int[] a); (클래스 이름: Test)
    •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 Go: sum(a []int) int
    •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python:

 

  • Python 2, Python 3, PyPy, PyPy3: def solve(a: list) -> int
    • a: 합을 구해야 하는 정수 n개가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 (0 ≤ a[i] ≤ 1,000,000, 1 ≤ n ≤ 3,000,000)
    • 리턴값: a에 포함되어 있는 정수 n개의 합 (정수)

# 정수 N개의 합
def solve(a: list) -> int:
    ans = 0
    for i in a:
        ans += i
    return ans

def solve(a) 만 적어도 코드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list  -> int: 는 list자료형을 int로 출력한다는 의미로 만약 int로 출력이 되지 않는다던가... 그런 일이 일어나도 정상 작동한다

 

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백준에 아직 어색한 나는 이 문제가 원하는게 뭔질 몰라서 좀 걸렸다.

반응형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309

 

2309번: 일곱 난쟁이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왕비를 피해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평화롭게 생활하고 있던 백설공주에게 위기가 찾아왔다.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난쟁이가 일곱 명이 아닌 아홉 명이었던 것이다.

아홉 명의 난쟁이는 모두 자신이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주인공이라고 주장했다. 뛰어난 수학적 직관력을 가지고 있던 백설공주는, 다행스럽게도 일곱 난쟁이의 키의 합이 100이 됨을 기억해 냈다.

아홉 난쟁이의 키가 주어졌을 때, 백설공주를 도와 일곱 난쟁이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출력

일곱 난쟁이의 키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일곱 난쟁이를 찾을 수 없는 경우는 없다.


# 일곱난쟁이
num = [int(input()) for _ in range(9)]
add = 0
#값을 다 더하기
for i in num:
    add += i

# 난쟁이 아닌 애 빼기
for i in range(9):
    for j in range(i+1, 9):
        if 100 == add - (num[i] + num[j]):
            no1 = num[i]
            no2 = num[j]

num.remove(no1)
num.remove(no2)

# 오름차순
for i in range(7):
    for j in range(i, 7):
        if num[i] > num[j]:
            num[i], num[j] = num[j], num[i]
#프린트
for i in num:
    print(i)

모든 합을 구한 후 난쟁이가 아닌 값을 뺐을 때 100이 되면 출력되도록 하였다

# 일곱난쟁이
num = [int(input()) for _ in range(9)]
add = 0
#값을 다 더하기
for i in num:
    add += i

# 난쟁이 아닌 애 빼기
for i in range(9):
    for j in range(i+1, 9):
        if 100 == add - (num[i] + num[j]):
            num.pop(i)
            num.pop(j)

# 오름차순
for i in range(7):
    for j in range(i, 7):
        if num[i] > num[j]:
            num[i], num[j] = num[j], num[i]
#프린트
for i in num:
    print(i)

처음에는 다음과 같이 pop()을 이용하면 인덱스 값을 아는 순간 바로 지울 수 있으니 편하겠다고 생각했는데 pop()을 for문 안에서 쓰는 순간 리스트의 길이가 짧아져서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이라는 인덱싱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값을 no1, no2 에 저장 한 다음 for문의 밖으로 나와서 리스트에 해당 값을 가진 요소를 지우는 방법을 선택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