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715
1715번: 카드 정렬하기
정렬된 두 묶음의 숫자 카드가 있다고 하자. 각 묶음의 카드의 수를 A, B라 하면 보통 두 묶음을 합쳐서 하나로 만드는 데에는 A+B 번의 비교를 해야 한다. 이를테면, 20장의 숫자 카드 묶음과 30장
www.acmicpc.net
문제
정렬된 두 묶음의 숫자 카드가 있다고 하자. 각 묶음의 카드의 수를 A, B라 하면 보통 두 묶음을 합쳐서 하나로 만드는 데에는 A+B 번의 비교를 해야 한다. 이를테면, 20장의 숫자 카드 묶음과 30장의 숫자 카드 묶음을 합치려면 50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매우 많은 숫자 카드 묶음이 책상 위에 놓여 있다. 이들을 두 묶음씩 골라 서로 합쳐나간다면, 고르는 순서에 따라서 비교 횟수가 매우 달라진다. 예를 들어 10장, 20장, 40장의 묶음이 있다면 10장과 20장을 합친 뒤, 합친 30장 묶음과 40장을 합친다면 (10 + 20) + (30 + 40) = 100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그러나 10장과 40장을 합친 뒤, 합친 50장 묶음과 20장을 합친다면 (10 + 40) + (50 + 20) = 120 번의 비교가 필요하므로 덜 효율적인 방법이다.
N개의 숫자 카드 묶음의 각각의 크기가 주어질 때, 최소한 몇 번의 비교가 필요한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0) 이어서 N개의 줄에 걸쳐 숫자 카드 묶음의 각각의 크기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 묶음의 크기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소 비교 횟수를 출력한다.
풀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카드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가장 작은 숫자들을 더해나가야한다.
가장 작은 숫자들을 더하기 위해 처음에는 정렬을 통해 매번 가장 작은 숫자가 앞으로 오게 한 후
그 숫자들을 더해주는 방법을 생각했었지만, 실패
알고리즘 분류에 우선순위 큐가 있었고, 또 다른 코드들을 살펴보니 heapq를 사용한 풀이가 많아 찾아보았다
https://docs.python.org/ko/3/library/heapq.html
heapq — 힙 큐 알고리즘 — Python 3.10.6 문서
heapq — 힙 큐 알고리즘 소스 코드: Lib/heapq.py 이 모듈은 우선순위 큐 알고리즘이라고도 하는 힙(heap) 큐 알고리즘의 구현을 제공합니다. 힙은 모든 부모 노드가 자식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갖는
docs.python.org
힙은 보든 부모 노드가 자식보다 작서나 같은 값을 갖는 이진트리로,
힙의 흥미로운 특성은 가장 작은 요소가 항상 루트인 heap[0]이라는 것입니다.
즉 정렬을 하지 않아도 가장 작은 값이 0번 인덱스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해당 문제처럼 언제나 가장 작은 값을 필요로 하는 경우 엄청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았다
a = heapq.heappop(arr)
b = heapq.heappop(arr)
로 그 순간 가장 작은 값을 pop하여 값을 더해주고, 더해진 값은 ans에 한번 더해지고 또 다른 연산을 위해 arr에 push된다.
arr에 들어간 값은 만약 가장 적은 값이라면 자동으로 arr의 0번 인덱스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헉 너무 쉽게 풀이가 가능해서 놀랐다...! 이래서! 모듈을 사용하는구나!!!!!
python 코드
# 1715 카드 정렬하기
import heapq
n = int(input())
arr = []
for i in range(n):
heapq.heappush(arr, int(input()))
print(arr)
if n == 1:
print(0)
else:
ans = 0
while len(arr) > 1:
a = heapq.heappop(arr)
b = heapq.heappop(arr)
ans += a + b
heapq.heappush(arr, a + b)
print(ans)
'study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5650. N과 M (2) : python (0) | 2022.08.10 |
---|---|
[백준] 11866. 요세푸스 문제 0 : python (0) | 2022.08.10 |
[백준] 10610. 30 : python (0) | 2022.08.05 |
[백준] 1920. 수 찾기 : python (0) | 2022.08.04 |
[백준] 5430. AC : python (0) | 2022.07.31 |